대구·경북, 긴장감 속 대학병원과 개원가 의견 갈려 최근 대구·경북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 외국영리병원 설립이 가시화되자 지역 병·의원들이 긴장감속에서 생존법찾기에 고심중이다. 이들 의료기관들은 외국병원 진출이 지역 의료계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견에는 동의하면서도 대학병원들은 해볼만하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일부 의원들은 지역 개원가가 붕괴될 것이라며 우려섞인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의 의견이 이렇듯 갈라지는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인천이나 부산의 경우가 좋은 예가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동산의료원 관계자는 27일 "인천이 최초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고 외국영리병원 유치를 선포했을때만해도 많은 영리병원들이 국내에 진출할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지금와서 보면 수년째 외국병원 설립이 지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는 사업성이 미비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결국 외국 의료법인들이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을 세우는 것은 사업성이 없다는 것이 판명됐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결국 외국병원들이 최소한의 수익성을 담보로 병원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비급여외래진료 중심의 전문병원 밖에는 답이 없다는 얘기"라며 "이러한 시스템은 3차진료를 주로 하는 대학병원의 수익성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고 풀이했다. 하지만 인근 개원의들은 외국병원 진출은 재고되야 한다는 입장이다. 철저히 상업화되어 있는 그들이 들어오면 개원가는 물론, 지역 주민들의 피해도 우려된다는 것이다. 경상북도의사회 관계자는 "외국병원들이 건보환자를 치료하러 한국에 들어오지는 않을 것"이라며 "결국 수익성을 담보한 비급여진료가 치료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아직 국내 의사와 병원들은 아직 그들만큼의 체계화된 상업화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며 "결국 철저히 상업화된 그들이 들어온다면 개원가는 물론 주민들의 피해도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대구·경북지역 대학병원들은 다음번 정례회의에서 외국병원 진출과 대책에 대한 공동대응안을 도출할 예정에 있어 어떠한 방향의 대응법이 모색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출처: 메디게이트 (이인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