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이하 암세포 찾아낸다..."10년 후 먹는 약 개발"
     2006-12-26 5527
 
2㎜ 이하의 작은 암세포를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이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크기인 나노 입자를 이용한 기술로, 의료계에서는 이번 기술이 상용화되면 조기 암 진단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세대 천진우(화학과)·서진석(영상의학과) 교수팀은 암세포만을 찾아 달라붙는 고감도 나노 입자를 개발, 이를 선명한 MRI 영상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의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인터넷판에 이날 게재됐다. 또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국내외 특허를 출원했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10㎚(나노미터) 크기의 지능형 나노 입자인 "메이오"를 유방암과 난소암이 있는 실험용 쥐에 주입한 후 2㎜ 크기의 초기 암세포를 MRI 영상으로 촬영했다. 메이오는 암세포에만 반응하는 항체를 달고 온몸을 돌아다니며 암을 찾아내는 자가탐색기능을 갖춘 "인공지능형 나노 입자"이다. 즉 암 검진을 받는 환자가 약물 형태로 만들어진 메이오를 먹게 되면 이 약물이 미세 암세포에 달라붙고 되고, 이를 MRI로 정확히 촬영해 조기 암 진단을 가능케 하는 셈이다. 그동안 암 진단에 사용되고 있는 MRI영상은 몸 속에서 암세포가 상당히 커진 후에 발견돼 지름 2㎜ 이하의 작은 암은 거의 발견이 어려웠다. 특히 첨단 자성설계공법(AME)으로 개발된 메이오는 크기가 10㎚에 불과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먹는데도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이보다 앞서 하버드대학에서 개발된 진단제인 "클리오(CLIO)"가 메이오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몸 속에서 미세 암세포를 찾는데 활용됐지만, MRI 촬영 때 뚜렷한 영상을 보이지 못해 암 조기 발견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메이오는 클리오를 통해 발견할 수 없었던 2㎜ 크기의 암도 발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몸 속에서 돌아다니다 3일 후 자연스럽게 방출돼 인체에 무해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비록 동물실험이긴 하지만 생체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앞으로 조기 암 진단에 획기적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진단 가능 분야는 간암과 폐암 등 암 뿐만 아니라 뇌졸중과 심근경색증 같은 혈관질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내다봤다. 서진석 교수는 "늦어도 5년 안에 이 기술이 인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계속한다면 10년 후에는 암 진단용 먹는 약으로 상용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김태형 기자 (kth@mdtoday.co.kr)
     전한聯, 과천청사 무기 단식농성 돌입
     서울시醫, 손해보험사 요구 잇단 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