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소아과 필수과목 해제. 그 파장은
     2008-12-22 5089
 

"필수과 줄이는 건 정부 정책 반하는 것"

최근 대한병원협회가 50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 산부인과, 소아총소년과의 소수진료과목 제외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제출한 것과 관련, 해당과 의사회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병협은 건의서를 제출한 적 없다고 말을 뒤집는 등 발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한 언론에서 “대한병원협회(이하 병협)가 50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의 필수진료과목 제외를 요구하는 의료법 개정 의견서를 보건복지가족부에 제출했고, 이 의견서가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위원들에게 전달됐다”는 내용이 보도됐다.

병협은 이 같은 보도와 관련 “아직 공론화할 사안이 아니고 병원들이 원하는 내용을 복지부에 알린 것일 뿐”이라고 11일 밝혔지만 며칠 후 “그 같은 건의서를 제출한 바 없다”며 말을 뒤집었다.

이런 의견에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병협의 이 같은 요구를 언급할 가치조차 없다는 말로 종합병원마저 산부인과를 외면하게 된다면 산부인과는 몰락하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대한소아과학회 김창희 이사장은 “병협에서 일부과목을 필수과목에서 빼려고 한다면 해당학회에 의견을 물어봐야한다”며 사견을 밝혔다.

대한의사협회 김숙희 정책이사는 병협이 500병상 미만의 병원에서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를 진료과목에서 빼게 된다면 “종합병원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숙희 이사는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는 환자가 많이 줄어 수익 창출을 주지 못하더라도 메이저과목으로 현재 전공의 지원율도 떨어지는 기피과로 인식되는데다 수련마저 못하게 된다면 더 악순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이사의 말에 따르면 대학병원을 뺀 대부분의 종합병원이 300병상을 가진 병원으로 접근성이 대학병원에 비해 높다.

또 건강심사평가원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6년을 기준으로 실제 분만이 이뤄지는 종합병원 전체 295개 중 138개로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이는 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이 이뤄지지 않아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종합병원에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가 없어진다면 점차 사회적 영향으로 인한 노산 등이 많아지면서 미숙아를 낳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곳이 없어지고, 현재도 대도시 대학병원으로 환자의 쏠림이 심각한 상황에서 앞으로는 포화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김 이사는 “이런 일을 막기 위한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에 대한 수가인상 현실화를 비롯한 정부차원의 적극적 대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아과학회 김 이사장 역시 “전공의들이 내과, 산부인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에서 소아를 봐야하지만 군소종합병원에서 소아과가 없어진다면 임상을 통해 아이들에게 처방하는 것을 배울 기회조차 앗아가게 돼 전공의들이 아이들을 처치하는 방법을 잘 모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이사장은 아직 병협 측에서 공론화 하지 않았고, 만약 이런 내용이 사실이라면 소아과학회 차원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찾아가는 산부인과’, ‘산전바우처제’ 등을 도입해 저출산 문제를 지원하는 출산장려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의협 김숙희 이사는 정부가 출산장려책을 지원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정부의 출산장려책에 속에는 잘 낳고, 잘 키우는 것도 포함돼 있는 것”이라며 “아이들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는 과를 줄이려고 하는 것은 장려책에 위배된다”며 정부의 일관되지 않은 정책을 질타했다.

메디컬투데이 윤정애 기자
     시민단체가 모처럼 의료계 어려운 현실 공감
     존엄사 "입법" 코앞?··· 법제정 왜 어렵나